Korean J Art Hist > Volume 323; 2024 > Article |
|
1) “보물 정선 필 경교명승첩(鄭敾 筆 京郊名勝帖)”, 국가유산포털-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main/?v=1726585583939.
3) 김세호, 「정선(鄭敾)의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 그려진 조선 후기 한강(漢江)의 모습: 녹운탄(綠雲灘)에서 미호(渼湖)까지」, 『한문학논집』 58 (2021. 2), p. 128.
4) 안호균, 「겸재 金剛山 眞景山水畵에 나타난 寺刹 사생 및 山水 寫景의 探勝 장소에 관한 연구」, 『미술문화연구』 3 (2023), pp. 106-107. 정선의 금강산 그림에 대한 유사도를 평가하는 것이 그 양식을 정의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5) 최완수, 『겸재 정선 2』 (현암사, 2009), p. 58. 《경교명승첩》은 광주시에서 시작하여 김포시까지 한강을 따라 여행하며 그린 그림들을 모은 책으로 강의 상류에 위치한 장소부터 장첩되어 있다.
6) 이태호, 「實景에서 그리기와 記憶으로 그리기-朝鮮後期 眞景山水畵의 視方式과 畵角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57 (2008), pp. 141-185.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가들의 신‘ 분’, ‘묘사력’, ‘현장닮음’을 처음으로 수치화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이태호가 제시한 ‘현장닮음’에 대한 기술적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8) 이한성 옛길 답사가가 CNB미디어의 문화경제 인터넷신문을 통해 연재하는 정선 그림 답사기로 《경교명승첩》의 대상이 된 모든 장소를 직접 답사하여 묘사대상과 관찰지점을 분석하였다.
13) Kay E. Black and Eckart Dege, “St. Ottilien’s Six ‘True View Landscapes’ by Chong Son (1676-1759),” Oriental Art XLV, no. 4 (1999), pp. 39-51.
14) 한국학진흥원이 2018에 발굴한 정선의 금강산 그림 7점을 보면 내금강의 모습을 간단하게 현장에서 요약하여 그린 그림임을 알 수 있다. 스케치를 기반으로 추후 화실에서 본인의 상상 및 재구성을 통해 완성된 화첩을 제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을 것이며, 〈금강내산전도〉도 이런 방법으로 제작되었을 것이다. 이에 에카르트가 〈금강내산전도〉에서 단일 관찰지점을 찾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Kay E. Black and Eckart Dege, 앞의 논문, pp. 51.
16) “3차원 분석”,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포털 브이월드, (n.d.). https://www.vworld.kr/v4po_main.do. 정부에서 보유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제시하는 서비스.
17) 황순진 외 9인, 「남·북한강과 경안천 합류 수역 팔당호의 수질 변동성에 대한 기상·수문학적 영향」, 『생태와 환경』 49, no. 4 (2016), pp. 354-374.
18)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n.d.), http://kyudb.snu.ac.kr/main.do?mid=GZD.
21) 군용비도(軍用秘圖), 후에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로 명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로 일본에 의해 제작되어 조선총독부 박물관에서 사용한 지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do.
22) “통합지도검색”,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24) 강영조·배미경,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진경산수화 100엽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 no. 5 (2002), pp. 10-11. 강영조, 배미경이 제시한 ‘올려보다’.
29) “[겸재 그림 길 (62) 녹운탄] “저승 가서도 나무하시오?” 물은 양반의 노비시인 사랑”, 문화경제 이한성 옛길, https://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35980.
31) 최완수, 앞의 책, p. 70; 1668년, 김창흡이 남한강을 여행하며 쓴 『단구일기』 초반에도 덕포를 출발한 후 금수 여가촌에 숙박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윤경희, 「金昌翕의 丹丘日記 연구」, 『민족문화연구』 41 (2004), p. 163.
34) “수청리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 https://map.naver.com/p?c=13.67%2C0%2C0%2C2%2Cdh 재편집.
41)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 중 마석우리(磨石隅里) 지도,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지도,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do.에서 발췌하였다.
42) “일제강점기 기록 중 토지조사사업 생산배경”,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typeArchive.do.
43) “수청리 카카오맵”, 카카오맵, https://map.kakao.com/?index.jsp.
44) “공간정보받기”,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45) “숙종 때 영의정 여성제 생가 폐가 직전”, 오마이뉴스 (2007. 1. 22.),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387487#cb.
47) Motti Zohar, Ilan Shimshoni, and Fadi Khateb, “GIScience Integrated with Computer Vision for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Old Paintings,”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heor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Setúbal: SciTePress, 2020), pp. 233-239.
48)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미국의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사, https://www.esri.com/en-us/home.
49) Martin A. Fischler and Robert C. Bolles, “Random Sample Consensus: a Paradigm for Model Fitting with Applications to Image Analysis and Automated Cartography,” in Readings in Computer Vision (San Francisco: Morgan Kaufmann Publishers, 1987), pp. 726-740. robust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노이즈 이상치가 포함된 데이터셋에서 일정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50) Yichuan Zhang and Shichen Zhao,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Utilization Method of ‘Picturesque Landscape’ in the Coast Area of Seto Inland Sea,”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Transactions of AIJ) 88, no. 804 (2023), pp. 580-591.
51) David G. Stork and Yasuo Furuichi, “Computer Graphics Synthesis for Inferring Artist Studio Practice: an Application to Diego Velázquez’s Las Meninas,” Proceedings of SPIE 7238 (2009), pp. 06-1-10.
52)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구축한 OpenTopography서비스 (https://opentopography.org/)를 통해 제공되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https://www.earthdata.nasa.gov/sensors/srtm).
53) Adobe Photoshop을 이용하여 〈조선지형도〉의 경도 위도 좌표 내 지도 이미지를 획득 후, 등고선을 제외한 다른 이미지를 삭제하였다. CAD 프로그램인 Rhino3D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픽셀별 Brightness Threshold를 설정, 검은색 부분의 등고선을 추출한 뒤, 해당 높이에 따라 z축(위) 방향으로 재배열 후 각 등고선을 잇는 Surface를 구축하여 3차원 지형을 제작하였다.
58) Intae Hwang, “Through the Eyes of a Painter: Re-visioning Eighteenth-century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by Jeong Seon in Virtual Environments,” (PhD dis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19), p. 90.
62) Kelly H. Zhou, Simon K. Warfield, Aditya Bharatha, Clare M. C. Tempany, Michael R. Kaus, Steven J. Haker, William M. Wells 3rd, Ferenc A. Jolesz, and Ron Kikinis, “Statistical Validation of Image Segmentation Quality Based on a Spatial Overlap Index,” Academic Radiology 11, no. 2 (2004), pp. 180-181. 두 개의 영역이 전혀 겹치지 않으면 DSC 값은 0이 되며, 부분만 겹치면 0에서 1사이, 완벽하게 겹치면 DSC 값은 1이 된다; DSC 수식에서 A는 〈녹운탄〉을 근경(A-1), 원경(A-2), 하늘(A-3), 강(A-4)으로 분류한 ‘Fig 14 - 중’이며 B는 가상공간에서 촬영된 영상을 근경(B-1), 원경(B-2), 하늘(B-3), 강(B-4)으로 분류한 ‘Fig 14 - 우’이다. Fig 14 - 중 (A)의 4개 지역과 Fig 14 - 우 (B)의 4개 지역을 각각 DSC로 둘의 합친 면적 대비 겹치는 면적의 2배의 비율을 계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64) 이태호, 앞의 논문, p. 146.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DSLR)에서 풍경 촬영을 위해 사용되는 단렌즈는 28mm, 35mm, 50mm 등이 있으며, 이태호는 그의 논문에서 28mm 렌즈로 정선 그림의 관찰대상을 포함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였다. 해당 렌즈의 화각은 각각 65°, 54°, 40°정도로 통상적인 인간의 수평 시야각과 유사하므로 정선의 묘사대상을 담기에는 시야각이 좁다. 따라서 Panoramic View 기법의 결과를 단렌즈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가장 넓은 시야각을 가진 10~12mm 렌즈로 묘사대상을 촬영해야 하며 이에 110°를 가상카메라에 적용하였다.
65) Unity3D에서 제공하는 물리적 카메라 변환 기법 라이브러리, https://docs.unity3d.com/kr/2021.3/Manual/PostProcessingOverview.html.
67) Unity 실시간 개발 플랫폼: 3D, 2d, VR 및 AR 엔진. Unity, https://unity.com/kr.
68) April M. Schweinhart and Edward A. Essock, “Structural Content in Paintings: Artists Overregularize Oriented Content of Paintings Relative to the Typical Natural Scene Bias,” Perception 42, no. 12 (2013), pp. 1311-1332; 일원분산분석은 세 개 이상의 독립 그룹의 평균 사이에 어떤 통계학적 차이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통계학적 테스트이다. 그룹에서 뽑은 표본 사이에 분산이 크다면 데이터에서 표본의 평균이 확률상 실제와 다를 가능성이 크고 그 값이 낮을수록(p-value) 평균은 실제와 유사함을 의미한다(통상적으로 p-value가 0.05 이하일 때만 평균이 대표성을 지닌다). 분산 분석 테스트에는 하나의 독립변수(본 분석에서는 DSC값)만을 검정하므로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한다. “ANOVA(분산 분석)은 무엇이며, 어떻게 쓰이나요? - qualtrics”, Qualtrics 대한민국 (2023. 4. 14.), https://www.qualtrics.com/ko/experience-management/research/ano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