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Art Hist Search

CLOSE


홍선표 지음,『고려 회화』(한국미술연구소 CAS, 2022. 11)
kjah-317-105i1.jpg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와 조선시대를 잇는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한 고려시대는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선사·고대 회화에서 조선 회화로 이어지는 한국 회화의 복합적인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고려 회화에 대한 이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고려 회화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부진했다. 고려시대에는 무덤 내부 또는 건물의 벽면을 장식한 벽화, 초상화, 기록화 등 실용적인 목적으로 그려진 그림, 산수화와 화조화와 같은 감상용 회화, 종교화인 불화 등 다양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불화를 제외하고는 남아있는 그림들이 거의 없어 고려 회화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기 매우 어려웠다. 특히 산수화, 인물화, 화조화 중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확정할 수 있는 그림이 없는 상황 때문에 고려의 일반 회화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한국회화사 연구의 사각지대로 남아있었다. 이 점에서 『고려 회화』는 이 시기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한 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다양한 그림들과 그 제작 양상들을 각종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치밀하게 고찰하여 10-14세기 한국 회화의 실상을 복원하고자 했다.
『고려 회화』는 한국회화통사1로 2017년에 출간된 저자의 『선사·고대 회화』를 이은 한국회화통사2로 일반 회화와 불교 회화를 총망라하여 고려시대 회화의 전모를 살핀 최초의 종합적인 연구서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고려 회화를 4시기로 구분한 후 고려와 북송, 남송, 원 사이의 회화 교류를 바탕으로 어떻게 고려의 화가들이 창의적이고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했는지를 한국과 중국의 다양한 문헌 기록을 통해 그 구체적인 면모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저자는 “중세 전기 회화로서의 고려 회화는 자료의 상실로 한정된 부분만 파악할 수 있지만, 중국회화사에서 창의성의 절정을 이루며 후대의 고전적 전범 역할을 한 송원 회화에 못지않거나 더 우수한 기술적, 예술적 수준과 경지를 이루었다(p. 4)”고 10-14세기 한국 회화의 역사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새로운 문헌 자료에 대한 발굴과 해석을 통해 저자는 고려 회화의 실제 양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저자가 복원한 고려 회화의 실상 중 주목되는 것은 문인화의 발전이다. 『고려 회화』에서 저자는 고려 중기와 후기에 나타난 문인화 이론의 태동과 성행, 서화 애호풍조의 형성과 확산, 묵희(墨戱) 풍류의 대두와 유행, 묵죽화의 발전을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이 책의 중요한 학술적 성과 중 하나는 문인화 이론을 바탕으로 성행한 묵죽화가 고려 회화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조명한 것이다.
한편 저자는 고려 중기 산수화의 양상을 『어제비장전』 판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도 『어제비장전』 판화는 고려시대 산수화의 특징을 설명하는데 활용되었지만 소략하게 다루어졌다. 『고려 회화』에서 저자는 『어제비장전』 판화를 꼼꼼하게 분석하여 북송 초기의 화북계, 강남계 산수화풍이 고려에 유입되면서 고려 중기 산수화의 발전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어제비장전』 판화를 통해 작품의 부재로 알 수 없었던 고려 중기 산수화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 저자의 연구 방법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저자는 고려시대에 발달한 화조화 및 화훼화의 다양한 면모를 복원하기 위하여 도자기와 석관, 동경과 같은 기물(器物)의 문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도자기와 기물 표면에 그려진 꽃과 새는 고려시대 화조화의 수준을 유추하는데 중요한 시각 자료이다. 이러한 저자의 시도는 참신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498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Korean J Art Hist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Rm. 601. Harvard Officetel Bldg. 1794, Nambusunhwan-ro, Gwanak-gu, Seoul 08786, Republic of Korea
Tel: +82-2-884-0271    Fax: +82-2-884-0277    E-mail: ahak@korea-art.or.kr                

Copyright © 2024 by Art History Association of Korea.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